본문 바로가기
  • CHOICE VIETNAM
  • 360 INSIGHTS INTO VIETNAM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베트남 비자 정보 (관광, 전자, 취업)

by 360-VINA 2025. 5. 3.
반응형

2025년 베트남은 관광산업 활성화와 외국인 유치를 위해 비자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편했습니다. 특히 관광비자 유효기간 연장, 전자비자 대상 국가 확대, 취업 및 투자 관련 비자의 요건 강화 등 실질적인 변화가 적용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관광비자, 전자비자, 취업비자의 핵심 변경사항을 상세히 정리하고, 정확한 정보 출처를 통해 신청 방법과 유의사항을 안내합니다. 투자비자 및 취업비자에 대한 보다 심화된 정보는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관광비자: 90일 체류 가능, 자유로운 입출국

베트남 관광비자는 2023년 8월 개정된 출입국법을 기반으로 현재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을 포함한 13개 국가 국민에게는 최대 45일 무비자 입국이 허용되며, 전자비자 또는 관광비자 신청 시 최대 90일까지 체류 가능합니다.

여행 목적의 관광비자는 단수 입국 또는 복수 입국 모두 가능하며, 이는 베트남을 거점으로 동남아시아 다국적 여행을 계획 중인 여행객에게 매우 유리한 제도입니다. 비자 신청은 베트남 이민국 공식 사이트를 통해 가능하며, 준비 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여권 스캔본 (유효기간 6개월 이상)
  • 여권용 증명사진 (배경 흰색)
  • 체류 일정표
  • 비자 수수료 (25~50달러)

📌 공식 신청 사이트

비자는 보통 3~5일 내 이메일로 PDF 형태로 발급되며, 신청 시 명시한 입국 공항과 실제 도착지가 다를 경우 입국이 거절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자비자: 신청 간편화, 157개국 확대

전자비자(E-Visa)는 2025년 현재 총 157개국 국민에게 발급되고 있으며, 90일간의 체류 및 복수입국이 허용됩니다. 이는 베트남의 외국인 유치 전략 중 하나로, 특히 한국인을 포함한 많은 아시아 국가 여행객에게 실질적 혜택을 제공합니다.

신청 절차는 비교적 간단하며, 온라인으로 직접 신청 가능하고 승인 후에는 이메일로 비자가 전달됩니다.

  • 여권 스캔본
  • 증명사진 (디지털 파일)
  • 체류 목적 및 주소 입력

📌 베트남 외교부 공식 발표

전자비자 신청 시 체류지, 방문 목적, 입출국 공항 등 기재 내용은 실제 여행 계획과 반드시 일치해야 하며, 신청 완료 후 수정이 불가하므로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전자비자는 일반적으로 신청 후 3일 이내로 발급되며, 베트남 내 13개 국제 공항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취업비자 및 투자비자: 요건 강화 및 심사 강화

2025년 기준 베트남 취업비자(LD 비자) 및 투자비자(DT 비자)는 서류 요건이 강화되었고, 신청 절차도 세분화되었습니다. 특히 취업비자는 노동허가서(Work Permit) 발급이 필수이며, 투자비자는 자본금 증명 및 사업계획서가 필요합니다.

취업비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1. 현지 고용주가 발행한 초청장
  2. 노동보훈사회부(MOLISA)에서 노동허가서 취득
  3. 베트남 이민국 혹은 대사관을 통한 비자 발급

📌 노동허가서 관련 정보

또한 투자비자는 투자금 규모에 따라 DT1~DT4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세금 납부 능력 및 사업 실현 가능성이 중요한 평가 항목입니다. 해당 비자는 일반 관광 및 전자비자와 달리 현지 법률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므로, 전문가나 대행사를 통한 절차 진행이 권장됩니다.

 

 투자비자 및 취업비자의 구체적 서류 준비 및 유의사항은 별도로 포스팅하여 보다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베트남은 2025년 기준으로 비자 정책을 적극적으로 개편하여 외국인 방문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관광비자와 전자비자는 더욱 유연해졌으며, 신청 절차 또한 간소화되어 접근성이 개선되었습니다. 반면, 취업비자와 투자비자는 강화된 요건과 복잡한 행정 절차가 요구되므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Insights into Vietnam, with 360VIN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