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CHOICE VIETNAM
  • 360 INSIGHTS INTO VIETNAM
카테고리 없음

2025 베트남 사업 EXIT(철수) 리스크 완전분석 ┃ 한국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7가지 현실

by 360비나 2025. 11. 16.
반응형

베트남은 여전히 기회의 땅입니다. 하지만 성공적으로 시작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것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베트남 사업의 마무리(Exit)”입니다.

대표님도 수도 없이 상담해 오셨듯, 베트남 사업은 철수 단계에서 문제가 폭발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초기 설립·운영은 어떻게든 버티지만, 막판 청산·송금·세무조사에서 6개월~2년 가까운 손실이 나는 케이스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은 기존에 대표님이 운영하신 콘텐츠(FDI, 비자, 명의리스크, 전자상거래 규정)를 Exit 관점에서 재정리한 콘텐츠로, 한국 투자자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실제 위험 7가지를 총정리한 실전 가이드입니다.


◎ 2025 베트남 EXIT 리스크 핵심 키워드

  • 청산(Closing) 기간 평균 6~12개월
  • 청산 직전 세무조사 90% 확률로 발생
  • 명의사업일 경우 Exit 거의 불가
  • 자본금 미납입 → 비자·송금 모두 막힘
  • 송금(Repayment) 제한 → 한국으로 돈 못 가져오는 사례 증가
  • 직원 퇴직금·사회보험 정산 필수
  • 미신고 매출·세무 누락 → Exit 단계에서 전부 적발됨
베트남 사업 종료 시 가장 큰 리스크 중 하나는 직원 해지·노무 분쟁입니다

 

1. 청산 기간 6~12개월 — “베트남은 철수가 시작의 2배 더 어렵다”

한국 투자자가 가장 놀라는 부분입니다. 베트남은 사업을 종료할 때 반드시 아래 절차를 모두 거쳐야 하며, 평균 6~12개월이 소요됩니다.

  • 세무청(Tax Department) 최종 검증
  • 사회보험부 채무 정산
  • 직원 퇴직금·Labor 계약서 정산
  • 은행 계좌 세무검토
  • MPI(기획투자부) 법적 청산 승인
특히 문제: ‘세무조사 → 청산 승인 지연 → 월세·관리비·직원 정산비용 지속 발생’ 이렇게 손실이 확대되는 구조입니다.


2. 세무조사 100% 발생 — “Exit 하면 과거 2~5년 모두 열람합니다”

베트남에서 법인 청산 시에는 세무조사가 의무적 절차입니다.
특히 외국인 투자기업은 다음 항목이 집중적으로 조사됩니다.

  • 현금매출 누락
  • VAT 매출 누락
  • 직원 사회보험 미가입
  • 임의 비용 처리(식비, 렌탈비, 기프트 비용 등)
  • 한국과의 거래(Transfer Pricing)

→ 결론: 운영 중에는 넘어가던 회계 오류도, Exit 단계에서 전부 적발되어 비용·벌금이 대폭 증가합니다.



2025 베트남 사업 Exit 리스크 — 한국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현실

3. 명의 사업(베트남인 이름) → Exit 불가 100%

2024~2025년 실제 상담에서 가장 많았던 케이스입니다.
베트남인 명의 사업은 ‘철수(Exit)’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명의 사업 Exit 불가 이유

  • 사업주가 베트남인 → 한국인은 청산에 법적 권한 없음
  • 명 의자 동의 없으면 절대 청산 불가
  • 매출·통장·세무 모두 명의자 책임
  • 분쟁 발생 시 한국인은 법적으로 0% 보호
🔥 실제 발생 케이스: 베트남인 명의자가 돌연 연락 두절 → 가게·재고·보증금 전부 몰수 한국인은 “대표가 아님”을 이유로 청산 신청조차 불가.


4. 자본금 납입·송금 리스크 — “한국으로 돈 못 가져오는 경우 증가”

베트남에서 사업을 철수하려면 ① 자본금 납입 증빙 + ② 합법적 이익 송금 구조가 필수입니다.

📌 문제는?

  • 자본금을 미납입한 경우 → 한국 송금 불가
  • 불법 명의계좌 사용 → 계좌 동결
  • 이익잉여금 증빙 부족 → 송금 승인 거부
  • 한국에서 수취 계좌 오류 → 재심사 2~3개월

→ 결론: Exit 단계에서 돈이 묶이는 사례가 매우 많으며, 법적 구조가 잘못되면 송금 자체가 불가능해집니다.



5. 직원·사회보험 정산 리스크 — “퇴직금·보험·페널티가 Exit 때 폭발한다”

한국 기업이 간과하는 부분입니다.
베트남은 직원 관련 법령이 매우 강하며 청산 전 직원 정산이 100% 완료되어야 합니다.

  • 퇴직금 정산
  • 미납 사회보험 납부
  • 계약 종료 공문 발송
  • 세무서 제출용 해지 문서
📌 직원이 단 한 명이라도 이의 제기하면 → 청산 절차가 즉시 중단됩니다.


6. PE(고정사업장) 리스크 — 한국 본사 매출도 조사 대상

베트남에서 실제 운영이 이뤄졌다면 한국 본사의 매출이라도 베트남에서 과세될 수 있습니다.

  • 한국 고객 매출 → 베트남에서 운영 → PE 적용
  • 한국 직원이 베트남 체류 → PE 간주
  • 베트남 프리랜서 관리 → 사실상 Branch로 판단

→ Exit 단계에서 PE 조사 + 과세 + 벌금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최종 EXIT 승인 지연 — “문서 한 장 때문에 3개월 지연되는 나라”

베트남 청산 과정은 다음 8단계를 모두 통과해야 합니다.

  1. 세무 마감
  2. 매출·지출 검증
  3. 자본금 사용 내역 제출
  4. 은행 계좌 폐쇄 승인
  5. 사회보험 종료
  6. 노무 정산
  7. MPI 청산 승인
  8. 법률 프레이즈 공고

→ 상기 단계 중 하나라도 부족하면 Exit 승인이 멈추고, 월세·인건비·관리비가 계속 지출됩니다.



◎ 결론 — EXIT까지 고려하면 ‘준비된 투자자만’ 베트남에서 돈을 번다

베트남은 기회의 땅입니다. 하지만 EXIT이 가장 큰 리스크입니다.

사실 한국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는 시점은 사업 실패가 아닙니다. 대부분 철수 단계에서 손실이 확정됩니다.

📌 최종 핵심 요약

✔ 명의 사업 → Exit 불가
✔ 청산 기간 6~12개월
✔ 세무조사 100% 발생
✔ 송금 규제 강화 → 돈 묶임
✔ 직원·보험·노무 정산 필수
✔ PE 리스크 → 한국 매출도 과세 대상

→ 준비 없는 진출 = 100% 손실 → 준비된 구조(FDI) = 기회의 땅

💡 2025년 베트남은 여전히 성장 중입니다

전자상거래·물류·수입·제조·F&B… 베트남은 지금도 확장 중인 거대한 시장입니다.

리스크를 이해하고 구조만 제대로 잡으면 한국 투자자에게 가장 매력적인 신흥시장입니다.




📘 FDI 리스크 총정리 다시 보기 📌 베트남 FDI 설립 절차 보기 🌐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공식 페이지 🧾 베트남 국세청(GDT) 공식 세무 가이드

Insights into Vietnam with 360VINA

베트남 현장에서 쌓인 경험과 실제 사례 기반으로 한국 투자자에게 필요한 인사이트를 전달드립니다.
리스크를 줄이고 성공 확률을 높이는 현장형 베트남 비즈니스 정보 플랫폼이 되겠습니다.

반응형